■ 진행 : 이광연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/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무섭게 치솟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한국은행이 잇따라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지만, 아직 뚜렷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시각으로 내일 새벽이죠.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폭에 관심이 쏠리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경제 상황, 그리고 내일 발표될 미국 기준금리 인상 전망까지,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오늘 크게 보면 세 가지인 게 기대인플레이션율 그다음에 미국 연준이 어떻게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인가. 그리고 경제성장률 세 가지 크게 짚겠는데 다 연결돼 있기는 합니다마는. 먼저 향후 1년간의 물가상승치가 역대 최고고 또 그 폭도 최고라고 하더라고요.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우리가 기대인플레이션이라고 하지 않습니까? 경제 참여자들이 앞으로 1년 뒤에 물가가 어떻게 될 것인가, 거기에 대해서 전망을 하는 게 기대인플레이션인데요. <br /> <br />이게 4.7%.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었고요. 조금 이따가 설명을 하겠지만 이 기대인플레이션이 중요한 것은 인플레, 물가를 잡는 데 있어서 기대인플레가 저렇게 높아버리면 만에 하나 현 상황에서 유가를 잡았다 쳐도 불씨가 남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부추기는 측면이 있어서 그런 건가요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그렇습니다. 이거 물가 잡았어. 곡물 잡았어 해도 또 다른 상황에서 뭔가 조금만 들쑤시는 이슈가 나올 경우에는 물가가 다시 튀어버리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중앙은행의 책무 중에서 물가를 잡으려고 금리를 올린다라고 할 때는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저 기대인플레를 꺾으려는 그런 목적도 있는 거죠. <br /> <br /> <br />여러 번 출연하시면서도 기대인플레이션 조심해야 된다는 말은 강조를 해 주셨는데 결국에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졌다는 것은 또다시 악순환이 우려되는 그런 상황이 예상이 된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거겠죠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매우 크다는 겁니다. 실질적으로 국제유가 같은 경우는 WTO 기준 배럴당 100달러 밑으로 떨어졌습니다. 곡물 가격도 많이 떨어졌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이렇게 되니까 뭐가 문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72716460499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